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교육공동체를 형성하여 교육취약 아동·청소년들의 삶 전반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교육적 성장 도모
행복나눔 교육복지사업 추진방향 및 중점과제
비전 |
| 학생 모두에게 따뜻한 교육복지 |
|
|
|
목표 |
| 공정한 교육 기회의 제공을 통한 배움과 성장지원 |
|
|
|
추진 전략 |
|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복지안전망 내실화 |
중 점 과 제 |
| 학생별 맞춤형 통합지원 내실화 | 1.학생성장에 초점을 맞춘 통합사례관리 체계화
2.행복나눔 교육복지센터 기능 강화
3.대상학생에게 효과적인 프로그램 기획·운영 |
| |||
|
|
| |
| 지역사회 기반 학교역량 강화 | 1.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및 공동사업 운영
2.학생변화 촉진을 위한 가족개입 강화 | |
| |||
|
|
| |
| 「행복나눔」 교육복지사업 실현 제반 여건 강화
| 1.지역사회 및 사업관계자 역량 강화
2.사업추진 성과관리체제 강화 | |
|
전체학생 | ㅁ 모든 재학생 ㅁ 예방교육 및 교육복지 증진을 위한 활동 참여 |
교육취약학생 | ㅁ 객관적 기준 해당 학생 및 교사 추천 학생 - 경제적 어려움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, 법정한부모가족, 법정차상위, 중위소득52% 이하 - 사회적·문화적·학업적 어려움소년소녀가장, 조손가정, 실질적 한부모가정, 학업부진, 학교부적응 - 가정의 어려움가정폭력, 아동학대 등 |
집중지원학생 | ㅁ (통합)사례관리대상학생 - 문제해결능력 함양이 필요하고 복합적인 어려움으로 집중지원·관리가 필요한 학생 - 위기개입 |